
현재 대강의 앱화면입니다.
흐름을 설명드리면
2번 화면에서 3번화면으로 넘어가 운동을 선택하고 4번화면에서 상세 정보를 작성합니다.
이후 추가를 누르면 2번화면에 추가되는 방식인데요.
2번화면에서 최종적으로 저장버튼을 누르면(현재사진에는 나타나있지않습니다) 정보들이 DB에 저장되고
1번 화면처럼 날짜와 그날 진행한 부위만 간단하게 나타나는 방식입니다.
1번화면에서 리스트를 누르면 2번화면으로 넘길지 아니면 정보들을 텍스트로 뿌려서 보여줄지는 아직 결정못했습니다만 이건 이글에서 아직 중요한 부분이 아니니 넘어가고,
위 내용들을 DB로 표현하고자하는데 현재는 아래 사진과 같이 설계했습니다

1번 사진은 아직 설계가 안되어있구요
detail_Database에는 2번사진의 데이터들이 표현됩니다.
Workout (운동이름, 메모) 와 SetInfo (세트, 무게, 횟수, 무게단위)를
1:N관계로 표현하기위해서 나누어서 저렇게 했습니다..
SetInfo를 Wokrout 안에 전부 다 표현해볼까 했지만 그냥 따로 나누어서 했습니다.
(참고로 4번사진에서는 추가를 누르면 DB에 저장되는게 아니라 그냥 2번화면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식으로 했습니다, 최종적으로 DB에 저장은 운동이 다 추가된후 2번 화면에서 합니다.)
Workout_list DB에는 3번사진의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보이실지는 모르겟지만 속성이름이 각 부위 이름으로 되어있고
값은 List<String>타입으로 Converter를 사용해서 운동종류들이 들어가있습니다.
---------------------------------
이렇게 되어있는 설계를 좀 바꿔볼까하는데
1. Detail DB와 WorkoutList DB를 하나의 DB로 합친다.
2. 합친후 WorkoutList DB의 테이블을 부위 테이블과 부위별 리스트 테이블 두개로 나눈다.

기존 DB 설계가 이러한데 (부위별 운동은 다른 DB지만 여기서는 하나로 표현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DB로 만들고 기존 WorkoutList Db의 테이블을 저렇게 둘로 나뉘었습니다.
근데 WorkoutList의 테이블을 두개로 나뉘어서 해야하나 싶기도하고요..
두개로 나누면 몸부위 테이블과 부위별 운동 테이블인데,
몸부위 테이블을 어디다가 쓸수 있을지도 잘모르겠습니다.
Detail DB는 동일한데 이건 따로 더 건드려야할지 잘모르겠습니다.. 어렵네요
조언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