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Q&A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의 질문과 답변을 위한 지식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안드로이드펍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용법, 운영진]

유동 ip로 소켓서버를 운영가능한가요?

0 추천
안드로이드 단말에서 제 데스크탑의 서버에 접속해서 소켓통신을 하도록 하려고 하는데

외부 ip가 유동이라 어찌해야하는지 난감하네요. ㅠㅠ 방법이 없을까요?
익명사용자 님이 2013년 5월 9일 질문

1개의 답변

0 추천
답은 아니겠지만.. 한달에 오천원 하는 리눅스 서버도 있고 만 얼마면 윈도우 서버도 호스팅 할 수 있습니다.

그냥 호스팅 하시는 것이 속 편할 것 같습니다 ~_~;;
Godwish (2,460 포인트) 님이 2013년 5월 9일 답변
ㅠ 집에서 개인 서버를 운영하면서 코드도 자주 바꾸고 해야되서 말입니다...
아 그러고보니 iptime용 공유기 등은 iptime 으로 유동 아이피 잡을 수 있는 것 같던데 그쪽 알아보심이 좋을것 같네요. 공유기에서 도메인 연결 해주는 것인데 아마 원하시는 것과 맞을 것 같네요~ port 막아놓은것 같으시면 포트 포워딩 해서 연결하시면 되구요~
iptime 공유기로 고정하는건 내부아이피일거에요...고정아이피 신청은 ISP에 신청을 해야하는건지...
ddns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검색해 보세요~

제 공유기에 있는 설명 입니다.

ipTIME DDNS를 사용하실때에는 별도의 등록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호스트이름은 iptime.org 로 끝나야 합니다. ( 예> testtest.iptime.org )
사용자계정에는 E-mail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한 개의 호스트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
ddns같은 경우는 외부에서 도메인으로 접근했을때 유동아이피와 연결해주는 것아닌가요? 저는 외부에서 ip주소로 접근을 해야해서요.
192.168 이런식의 가상 아이피가 아니라면 유동 아이피라도 접속이 됩니다. 포트가 막힌 것이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유동 아이핀데 외부에서 ip로 접근을 하신다니.. ddns 주소로 접속하면 됩니다. 물론 그 중간 과정에 주소에서 ip 얻어 오는 부분이 있을 것이고 결국 ip로 접속을 하는 것이니까요. 사실 답을 달아드리면서 참 난감합니다. 뭘 원하시는지도 모르겠고 이렇게 몇 번이나 답을 달고 할 만한 사안도 아닌데 말입니다.
수고하시구요. 이제 더 이상 해당 게시물에 답 안 달겠습니다.
소켓통신을 할때 서버에 도메인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공인 ip와 포트번호로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을 시도하자나요.  ip가 유동적인 경우에 클라이언트에 ip 관련 코드를 수시로 바꿔줄수도 없는노릇이라서요. ddns는 도메인으로 접근을해야 유동적으로 바뀐 코드에 연결해 주는 서비스로 알고 있는데요.
웹서버를 운영하는거라면 ddns로 간단히 해결했을텐데 말이죠...제가 질문이 내용이 부실했나 봅니다..ㅠ
에혀..
url로 ip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 안 달라고 했는데 정말 답답하네요. 검색 한 번만 해보셨어도 나올 내용인데..  뭔가 정말 답변을 들으실 생각이 있으신지 의심입니다. 이제 그만 하지요. 지칩니다. 제가 왜 사서 고생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