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제가 백신을 개발 중인데요.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입니다.
근데 지금 백신의 검사하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모바일에 있는 모든파일을 돌면서 파일안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면 그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근데 문제점이.. 제가 예전에는
1) 모든파일을 도는 소스를 짠다. ( 재귀호출 )
2) 1)안에 악성코드명 DB를 적용시켜 찾는다.
3) 발견된 악성코드를 치료한다. // 단계별
이런식으로 진행하려고 했었거든요... 이게 옳지 않을까요?..
그리고 또.. 악성코드명을 DB에 저장해서 그걸 모바일과 비교하는 것도 어려운 부분이네요..ㅜㅜ
1) 파일내부에 대해서 알아야될 필요가 있을거 같은데.. 악성코드가 파일내에 어느부분에 위치하죠?..
2)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을 때에 치료방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3) 악성코드명을 DB에 어떻게 저장하나요?
제 생각으로는 이런식으로 진행하려고 했는데...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배운지 반년도 안된 초짜라서요.. 학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