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Q&A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의 질문과 답변을 위한 지식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안드로이드펍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용법, 운영진]

뮤직앱 개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0 추천
안녕하세요.

보통 뮤직앱을 개발할 때 구현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뮤직앱은 mp3 파일 데이터 기반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보통 뮤직앱을 개발할 때 mp3 파일에서 메타데이터를 읽어서 사용하는지..

아니면 mp3파일의 메타데이터의 노드를 나열해서 json이나 xml로 로드해서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mp3 파일에서 읽어서 하는건.. mp3 파일의 메타데이터가 정확하다면 후처리를 안해도 되고

좋을 것 같긴 한데, 우려되는 점은 처리속도가 걸리거나 그러진 않을 지 걱정이 되더라고요.

보통 뮤직 앱 보면 커버 이미지를 리스트에서 미리 노출시키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빨라야 리스트로 보여지는 시간이 짧아진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json이나 xml로 mp3의 정보를 받아서 처리하는 건,

단점이라면 mp3의 메타데이터를 xml 또는 json으로 가공해야한다는 점이고요.

 

Beat나 Milk, Bugs 같은 곳은 어떤 식으로 개발된 건지 궁금하네요.

 

경험 있으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겨울햇빛 (160 포인트) 님이 2016년 2월 26일 질문

1개의 답변

0 추천

서버에서 받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일반적으론 MediaStore 라는 클래스를 사용해서 미리 구해둔 DB에서 오디오 정보를 구합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 드리면,

안드로이드에서는 MediaScanner가 SD카드 추가/삭제나 부팅등의 특정상황에 돌게 되어 있으며,

MediaScanner는 단말에 있는 파일을 검색하여 미디어 파일(mp3같은 파일은 ID3 내용이 분석)일 경우 분석한 사항을 MediaStore에 저장하게 되어 있습니다.

 

익명사용자 님이 2016년 2월 26일 답변
2016년 2월 26일 수정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주신 내용 중에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Media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는 건 파일이 단말에 존재할 경우에만 해당되는거죠...?
만약, 스트림방식으로만 개발할 경우에도 이에 해당되는건지요 ?
...